[016]'수식어'란? - 부사편
페이지 정보
작성자 그리기영문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9.♡.200.142) 작성일15-06-18 02:03 조회27,266회 댓글0건본문
이전 장에서는 2가지 수식어인 '형용사', '부사' 중에서 '형용사'에 대해 배워 보았다.
이번 장에서는 '부사'를 '수식어'로 써먹는 방법에 대해 배워 보도록 하자.
먼저, 앞으로 '수식어' 역할을 하는 '부사', '부사구', '부사절'에 대해서는
'부사어'라는 용어를 사용할 수도 있음을 미리 선언해 둔다.
'부사'가 수식해주는(꾸며주는) 대상은
주로 '동사', '형용사', 다른 '부사'이다.
이는 다음과 같이 말해도 똑같은 의미가 된다.
'부사'는 '서술어', '보어(형용사)', '수식어(형용사), '수식어<부사>'를 수식해준다.
'부사(副詞)'의 '副'는 '도울 부'자 인데 다른 요소를 '도와준다(꾸며준다)'는 의미이다.
또 영어 단어로는 'Adverb'인데 이 단어의 어원을 살펴보면
'Ad-(가까이)' + 'verb(동사)'의 조합으로 '동사 가까이'라는 의미이다.
즉 '부사'는 여러가지 '품사'들을 수식해 주기는 하지만
'부사' 본연의 진짜 핵심적인 기능은 문장의 중심인 '동사'를 수식해 주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부사'는 때에 따라서 '문장 전체'를 수식해 줄 수도 있고,
흔하지는 않지만 '명사'를 수식해 주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부사'는 특정한 품사를 수식해 준다기 보다는 거의 대부분의 요소를 수식해 준다고 할 수 있다.
어떠한 경우에는 수식하는 대상이 무엇이고 또 어느 범위까지인지를 꼭 집어 말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부사'는 "동사, 형용사, 부사, 문장 전체'를 수식해 준다."라고 기계적으로 따질 필요 없이
" 부사는 '수식어'로써 '피수식어'를 (앞쪽 또는 뒤쪽에서) 되도록 가까이 인접해서 꾸며준다. "라고
오히려 두루뭉수리하게 기억하는 것이 훨씬 더 심간이 편할 것이다.
어차피 '부사'는 문장 내에서 '필수 문장성분'이 아닌 부수적으로 쓰이는 '조연' 역할이기 때문에
무엇을 어디까지 수식하는지 문법적으로 명확하게 따지려고 하는 것은
그다지 별 의미 없는 짓이라 할 수 있다.
예문을 통해 부사의 쓰임을 살펴보도록 하자.
위 ⓐ, ⓑ 예문은 동사 'work' 및 'speak'를 각각 부사 'hard'와 'well'이 수식해 주고 있다.
ⓒ 예문은 형용사(보어) 'beautiful'을 부사 'very'가 수식해 주고 있으며,
ⓓ 예문은 형용사(수식어) 'beautiful'을 부사 'very'가 수식해 주고 있다.
ⓔ 예문은 부사 'well'을 부사 'very'가 수식해 주고 있으며,
ⓕ 예문은 부사 'happily'를 부사 'very'가 수식해 주고 있다.
이로써 '부사'는 '수식어'로써 '동사', '형용사(보어, 수식어)', '부사'를 수식해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기영문법'에서 수식어로써의 '부사' 표시는 필요에 따라 그냥 < > 도형을 그려주면 된다.
위 ⓐ, ⓑ, ⓒ, ⓓ, ⓔ, ⓕ 처럼 말이다.
또한 다른 요소에 포함되는 부사의 < > 표시는 굳이 그려주지 않고
더욱 간략하게 그림을 그려줄 수도 있다.
위 ⓖ, ⓗ, ⓘ, ⓙ 처럼 말이다.
'부사'는 때에 따라서 '문장 전체'를 수식해 줄 수도 있다고 하였는데 이에 해당하는 예문들을 보도록 하자.
ⓚ 예문은 'Luckily(운좋게도)'라는 부사가 'I passed the test.(나는 시험에 통과했다.)'라는
'문장 전체'를 수식해 주고 있다.
ⓚ 예문처럼 'Luckily'라는 부사를 맨 앞에 놓아 '문장 전체'를 수식하도록 할 수도 있지만
ⓛ 예문처럼 맨 뒤에서 '문장 전체'를 수식하도록 해도 두 문장의 의미는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이때 주의해야 할 것은 '부사'가 바로 인접한 단어를 수식하지 않고 '문장 전체'를 수식한다는 것을
명시해주기 위해 ,(콤마)를 반드시 찍어 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 예문은 'Happily(다행히도)'라는 부사가 'Tom did not die.(Tom은 죽지 않았다.)'라는
'문장 전체'를 수식해 주고 있다.
마찬가지로 ⓝ 예문처럼 부사 'happily'를 ,(콤마)를 찍은 뒤 문장 맨 뒤에 써 주어도 무방하다.
만약 ⓞ 예문처럼 ,(콤마)를 찍어주지 않으면 문장의 의미가 완전히 달라질 수도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 예문처럼 써버리게 되면 '수식어'와 '피수식어'의 기본 원리에 의해
'happily'는 가장 인접한(가까운) 단어를 수식하는 것으로 인식되어
동사 'die' 한 단어를 수식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지게 된다.
이렇게 써버리면 "Tom은 행복하게 죽지 않았다."라는 의미가 되어
,(콤마)의 유무에 따라 완전히 다른 의미의 문장이 되어 버리는 것이다.
그런데 ⓝ과 같은 문장 구조는 글로 쓸 경우에만 가능할 것이다.
,(콤마)의 유무는 '말하기'로는 표현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물론 끊어 읽기와 억양으로 가능은 하겠지만 ... )
따라서 "다행이도, Tom이 죽지 않았다."라는 의미를 말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가급적 ⓜ과 같은 문장으로 만들어 써먹어야 할 것이다.
어떤 경우에는 '부사'가 '명사'를 수식해 주는 경우도 있다.
ⓟ 예문은 부사 'quite'가 바로 인접한 명사 [a stranger]를 수식해 주고 있는데
문장의 해석은 "나는 여기에 완전히 생소한 사람이다."이다.
ⓠ 예문은 부사 'Even'이 바로 인접한 명사 [a child]를 수식해 주고 있는데
문장의 해석은 "어린애조차 싸이의 노래를 안다."이다.
ⓡ 예문은 부사 'even'이 바로 인접한 명사 [Psy's song]를 수식해 주고 있는데
문장의 해석은 "어린애는 싸이의 노래조차 안다."이다.
위와 같이 같은 단어들의 조합이라 하더라도 부사가 어떤 위치에서 어떤 요소를 수식하느냐에 따라
문장의 의미는 상당히 달라질 수 있다.
그냥 단순히 '수식어'는 '피수식어'를 되도록 가까이 인접해서 수식한다는
기본 원리 한 가지만 알고 있어도 위와 같은 문장은 어렵지 않게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부사'는 '한 단어'가 아닌 '두 단어 이상'으로 구성된
'구(Phrase)' 또는 '절(Clause)'을 수식하는 경우도 있다.
참고로 '구'는 '두 단어 이상'으로 구성되어 특정한 품사 역할을 하는 '덩어리 요소'를 말하고,
'절'은 '주어'와 '동사'를 포함하면서 '두 단어 이상'으로 구성되어 특정한 품사 역할을 하는
'덩어리 요소'를 말하는데 자세한 건 차츰 배우게 될 것이다.
ⓣ 예문은 부사 'soon'이 '부사구'인 <after sunrise>를 수식해 주고 있다.
ⓤ 예문은 부사 'only'가 '부사절'인 <because I was sleepy>를 수식해 주고 있다.
'부사' 수식어는 여러 개를 연달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럼 이번에는 '부사' 수식어의 위치에 대해 생각해 보자.
'수식어'는 '피수식어(수식받는 대상)'에
되도록이면 '인접'해 있어야 하는 것이 기본 원칙이다.
'부사'는 위와 같은 기본 원칙을 지키면서,
다음과 같은 위치에서 '피수식어'를 수식해 준다.
'부사'는 '동사'를 뒤쪽에서 수식해 주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부사'는 '형용사 또는 부사'를 앞쪽에서 수식해 주는 것이 일반적이다.
위와 같은 '수식어'의 위치는 일상적인 문장에서의 가장 일반적인 경우를 말하는 것이지
모든 문장에 적용되는 것은 절대 아니다.
위 ⓐ ~ ⓙ 문장들은 모두 위의 일반적인 원리에 의해 '부사'를 위치시켜 써먹은 문장들이다.
하지만 '부사'는
'부사의 종류에 따라', '부사 수식어의 길이에 따라', '배경 상황에 따라',
'강조하고자 하는 포인트에 따라', '화자의 의도에 따라', '문장의 구조에 따라' 등등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그 위치를 다양하게 달리하여 사용될 수가 있다.
흔히들 "부사의 위치는 자유롭다?"라는 말을 하곤 하는데
이를 단순히 부사를 자유롭게 아무 위치에서나 써도 된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서는 안된다.
필자는 위의 말이 사실은 잘못되었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부사는 그렇게 자유로운 존재가 아니다.
'부사' 수식어는 결국 '필수 문장성분(주어, 동사, 목적어, 보어 등)'과 같은
'주요 요소'의 옆에 붙어 다니면서
그들을 가장 돋보이게 할 수 있는 자리를 차지하려고 애쓰는 '조연'에 불과하다고 할 수 있다.
즉 '부사'의 위치는 자유로운 것이 아니라
'주요 요소(주연)'들에 포인트를 두어 그 의미를 강조하여 의사가 전달되게끔
최대한 도움이 되는 위치에 놓이기 위해 이리 치이고 저리 치이고 하다가
할 수 없이 그 자리에 위치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부사'의 위치에만 신경을 쓰기 보다는
해당 '부사'가 과연 어떠한 '주요 요소(주연)'를 꾸며주려고
그 위치에 자리잡고 있는지에 집중하여 문장 구조를 바라봐야 하는 것이다.
'부사의 위치 및 순서'를 포함하여 '주요한 부사의 용법' 등을 다루기 위해서는
상당한 분량의 내용과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나중에 '부사'를 집중적으로 다룰때에
구체적인 설명을 하도록 하겠다.
지금까지 배웠듯이 '부사'는 '동사', '형용사', '부사·감탄사', '명사·대명사', '문장 전체'를
수식해주는 품사로써 거의 모든 요소를 수식해 주는 '약방에 감초' 같은 품사이다.
이러한 이유로 문장 내에서 '부사'가 그렇게도 많이 쓰이고 있는 것이며,
'부사'의 유형 및 쓰임도 매우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는 것이다.
그 중 몇 가지 중요한 부사의 부류을 나열해 드린다면
'시간', '장소', '방법', '이유', '원인', '강조', '빈도', '부정', '조건', '양보' 등등이 있다.
이러한 부사들은 단순히 '필수 문장성분'들을 꾸며주는 역할만을 할 뿐이므로
문장 내에서 빼버린다고 해도 문장의 의미가 완전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아래 예문과 같이 빼버리면 문장의 의미가 불완전한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의 '부사'를 '문장 필수 부사'라고 하며
이러한 '문장 필수 부사'는 사용에 각별히 유의를 하여야 한다.
위 예문에서는 <on the table> 이란 부사를 빼버리면 의사 전달이 제대로 되지 않기 때문에
비록 '부사'라 할지라도 필수적인 요소로 볼 수 있다.
따라서 <on the table> 과 같은 '부사'를 '문장 필수 부사'라고 부르는 것이다.
(부사에 대해 당장 더 자세한 내용이 필요하다면 우선은 다른 자료들을 참고해 주기 바란다.)
때로는 문장 내에서 '필수 문장성분'들을 다 찾을 수 있고 의미도 완벽한데도
왠지 애매한 요소가 남아있다 싶으면 고민할 필요없이
그것은 그냥 '부사' 수식어'로 간주해 버리고 대수롭지 않게 넘겨버리는 것도
하나의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조금은 안일한 말이 될 수도 있겠지만 "이도 저도 아니면 그냥 부사인 것이다!"
자 그럼 두 장(Chapter)에 걸친 '수식어(형용사, 부사)'에 대한 내용을 마무리 짓도록 하자.
'명사'를 수식하는 것은 '형용사'이다.
또 이러한 '형용사'는 '부사'가 수식해 줄 수 있다.
또 '부사'는 다른 '부사'가 수식해 줄 수 있다.
또 '형용사' 또는 '부사'를 두 개 이상 연달아 사용할 수도 있다.
게다가 '두 단어 이상'의 '구' 또는 '절'도 '형용사', '부사'가 되어 다른 요소를 수식해 줄 수 있다.
위와 같은 사실 때문에
한 문장 내에 수 많은 '수식어'가 산발적으로 퍼져 있는 경우도 있으며,
하나의 '수식어 뭉치'를 매우 길게 늘여뜨려 쓰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수식어의 성질을 이용하면 주요한 '필수 문장성분' 보다
오히려 '수식어'가 훨씬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상당히 복잡한 문장을 얼마든지 만들어 낼 수 있다.
우리가 보는 시험 문제에는 바로 이렇게 수식어를 복잡하게 부가한 문장을 내기 일쑤이다.
왜냐햐면 '수식어'를 즐비하게 늘여뜨려 '필수 문장성분'을 찾지 못하게 하거나
헷갈리게 할 수 있어 수검자들를 골탕먹이거나 해당 문제를 틀리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에도 말했듯이 우리에게 필요한건
쓸데 없는 '수식어'를 걸러내고 진짜 필요한 '필수 문장성분'을 깔끔하게 뽑아내어
문장의 핵심 의미를 정확하게 파악해 내는 것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