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78]'원형 준동사' - 'to' 또는 '-ing'를 붙이지 않는 준동사 > DrawEnglish 이론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DrawEnglish 이론

[078]'원형 준동사' - 'to' 또는 '-ing'를 붙이지 않는 준…

페이지 정보

작성자 그리기영문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9.♡.200.142) 작성일15-09-03 17:47 조회25,602회 댓글0건

본문

d3acf489b982a3c1d6a1701fb0001b34_1441259

 

'동사'를 가지고 [명사], (형용사), <부사>로 써먹을 수 있는

방법들을 정리해 보도록 하자.

우선 가장 기본적으로는 아래 <표 1>, <표 2>와 같이

'동사(구)'의 맨 앞 요소에다가 'to' 또는 '-ing'를 갖다 붙여서

[명사], (형용사), <부사>로 써먹을 수 있다고 하였다.

​<표 1> 'to R'형 준동사

d3acf489b982a3c1d6a1701fb0001b34_1441260

<표 2> 'R-ing'형 준동사

d3acf489b982a3c1d6a1701fb0001b34_1441260

위 <표 2> 중 ⑶,⑸,⑺,⑻번 유형은

'-ing'가 두 번 겹치는 형태로

이론상으로만 가능하지 거의 사용하지 않는 유형이라 하였다.

( [039장] 참고)​

그런데 <표 2>

'완료형준동사(Having P.P),  '수동형준동사​(Being P.P)',

'완료·수동형준동사(Having been P.P)'에서는

'Having', 'Being', 'Having been' 등을 빼버리고

'과거분사(P.P)' 형태만 남겨서 써먹을 수도 있다고 하였다.​

이렇게 홀로 남겨진 '과거분사'는 주로 (형용사)로 써먹지만

때에 따라서는 <부사> 자리에​ 위치하는 경우도 있다고 하였다.

( [070장] 참고 )​

중간 정리해보면​

'동사'를 [명사], (형용사), <부사>로 써먹는 방법으로는

'to R형 준동사', 'R-ing형 준동사', '과거분사'의 형태​가 있다.

이 외에 한 가지 형태가 더 있는데

바로 이번 장에서 배울 '원형 준동사'이다.​

'원형 준동사'는 일반적으로 '원형 부정사(Bare Infinitive)​'라고 칭하고 있는데

필자는 '원형 준동사'라는 용어를 사용하고자 한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설명을 진행해 나가면서 밝혀드리도록 하겠다.

우선 예문 하나를 보도록 하자.

d3acf489b982a3c1d6a1701fb0001b34_1441267

 

ⓐ "나는 | 보았다 | 그 남자가 | 들어가는 것 | 그 방에"

우리는 ⓐ와 같은 구조의 ​문장을 접하게 되면

'saw'는 '확장타동사(5형식동사; 지각동사)'로서

'목적어(the man)'와 그에 따르는 '보어'를 갖는 다는 것을 알고있다.

그런데 여기서 주목해야 할 부분은 바로

'목적어의 보어' 자리에 있는 'enter'이다.

기본적인 문법에 따른다면 ⓐ 예문에서의 'enter'​ 자리는

'동사'가 아닌 '준동사'가 와야하므로

'to' 또는 '-ing'를 갖다 붙여서 'to enter' 또는 'entering' 형태로 바꾸어 써주어야한다.

하지만 ⓐ 문장에서는 특이하게 '원형'인 'enter'를 써주었다.

그 이유는 바로

'to' 또는 '-ing'가 가지는 뉘앙스를 빼버리고 표현하기 위해서이다.

​만약 아래 ⓑ, ⓒ 예문과 같이 쓴다면

전달되는 뉘앙스가 다소 달라지게 된다.

ⓑ *I saw the man to enter the room.

ⓒ  I saw the man entering the room.​

ⓑ "나는 | 보았다 | 그 남자를 | 들어가려고 하는 것 | 그 방에"

ⓒ "나는 | 보았다 | 그 남자를 | 들어가고 있는 것 | 그 방에"​

ⓑ, ⓒ 문장과 같이 표현하게 되면 위 해석과 같이

'to' 또는 '-ing'가 가지는 뉘앙스까지 가미해서 전달되게 된다.​

( [040장] 참고 )​

ⓐ​ 문장은 그저 그 남자가 방에 '들어간 사실' 그 자체만을

전달하고자 할 때 써먹는 문장이다.​

ⓒ 문장은 그 남자가 방에 '들어가고 있는(진행)' 상황을

좀더 생생하게 표현하고자 할 때 써먹는 문장이다.

ⓑ 문장은 확장타동사 'saw'와 'to enter'​가

의미상 어울리는 조합이 아니므로 사용하지 않는 문장이다.​

그래서 우리가 '지각동사'라고 칭하는

'see, watch, behold, feel, hear, notice, ​observe, perceive, look at, listen to' 등의

동사들은 '목적어의 보어'로 'R-ing형 준동사' 또는 '원형준동사(원형부정사)​'

두 가지가 가능하다고 배웠던 것이다.​

​이번에는 '사역동사'를 사용한 예문을 보자.

 

d3acf489b982a3c1d6a1701fb0001b34_1441269 

ⓓ "나는 | 시켰다 | 그에게 | 씻는 것 | 내 차를"

우리는 ⓓ와 같은 구조의 ​문장을 접하게 되면

'made'는 '확장타동사(5형식동사; 사역동사)'로서

'목적어(him)'와 그에 따르는 '보어'를 갖는 다는 것을 알고있다.

그런데 여기서 주목해야 할 부분은 바로

'목적어의 보어' 자리에 있는 'wash'이다.

기본적인 문법에 따른다면 ⓓ 예문에서의 'wash'​ 자리는

'동사'가 아닌 '준동사'가 와야하므로

'to' 또는 '-ing'를 갖다 붙여서 'to wash' 또는 'washing' 형태로 바꾸어 써주어야한다.

하지만 ⓓ 문장에서는 특이하게 '원형'인 'wash'를 써주었다.

그 이유도 바로

'to' 또는 '-ing'가 가지는 뉘앙스를 빼버리고 표현하가 위해서 이다.

​만약 아래 ⓔ, ⓕ 예문과 같이 쓴다면

전달되는 뉘앙스가 다소 달라지게 된다.

ⓔ *I made him to wash my car.

ⓕ *I made him washing my car.​

ⓔ "나는 | 시켰다 | 그에게 | 씻으려고 하는 것씻는 쪽을 | 내 차를"

ⓕ "나는 | 시켰다 | 그에게 | 씻고있는 것일반적인 씻음을 | 내 차를"

ⓔ, ⓕ 문장과 같이 표현하게 되면 위 해석과 같이

'to' 또는 '-ing'가 가지는 뉘앙스까지 가미해서 전달되게 된다.​

( [040장] 참고 )​

ⓓ​ 문장은 그에게 내차를 '씻는 행위' 그 자체를 시켰다는 것을

전달하고자 할 때 써먹는 문장이다.​

ⓔ, ⓕ 문장은 대략

그에게 내차를 '씻으려고 하는것 / 씻고 있는 것'을 시켰다 정도의

의미가 되어 버려 어색하게 전달되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문장이다.

그래서 우리가 '사역동사'라고 칭하는

'have, halp, let, make, bid' 등의

동사들은 '목적어의 보어'로 '원형준동사(원형부정사)​'만 가능하다고 배웠던 것이다.​

​위와 같이 '원형 준동사'는 'to R형 준동사' 또는 'R-ing형 준동사'에서

'to' 또는 '-ing'를 빼고 쓰는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원형 부정사'라는 용어는 자칫

'to 부정사'​에서 'to'를 빼고 쓰는 단편적인 개념으로 받아들일 수 있기 때문에

필자는 '원형 준동사'라는 용어를 사용하도록 하겠다.​

그런데 위 ⓐ,ⓒ / ⓓ 문장을 '수동태' 구조로 바꾸어 표현할 때는

반드시 '원형준동사'가 아닌 'to R' 또는 'R-ing'의 '준동사' 형태​로 써주어야 한다.

d3acf489b982a3c1d6a1701fb0001b34_1441281

 

'지각동사'를 사용한 ⓐ 문장을 '수동태' 구조의 문장으로 바꿔 표현할 때

원형준동사​ 'enter' 부분은

위 ⓖ 문장과 같이​ 'to R형 준동사(to enter)'로 써주거나,

'진행됨'을 부각하기 위해서는

ⓗ 문장과 같이 'R-ing형 준동사(entering)'로 써줄 수 있다.​

그렇다면 왜 '지각동사'의 '수동태' 구조의 문장에서는

'원형준동사'​ 부분을 'to R형 준동사'나 'R-ing형 준동사'로 써주는 것일까?

필자의 견해를 서술해보도록 하겠다.​

ⓐ​ 문장과 같은 '지각동사 + 목적어[명사] + 원형준동사' 구조에서는

'목적어[명사]' 다음에 '원형준동사'가 나오기 때문에

뜬금없는 '원형'의 '동사'가 나오더라도 충분이 짐작이 가능하다.

만약에 위 ⓖ,ⓗ 문장을 아래 ⓘ 문​장과 같이 쓴다고 하자.

ⓘ *The man was seen enter the room.​

위 ⓘ 문장의 구조는 '동사(seen) + 원형준동사(enter)​'가 연속으로 이어지므로

형태적으로 자칫 혼동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와 같은 '지각동사'의 '수동태' 구조 문장에서는

'to enter' 또는 'entering'과 같이

확실한 '준동사'의 형태로 써줄 필요가 있어 보인다.

그럼 '사역동사'의 '수동태' 구조 문장도 보도록 하자.

d3acf489b982a3c1d6a1701fb0001b34_1441283

 

'사역동사'를 사용한 ⓓ 문장을 '수동태' 구조의 문장으로 바꿔 표현할 때

원형준동사​ 'wash' 부분은

위 ⓙ 문장과 같이​ 'to R형 준동사(to enter)'로 써주어야 한다.

'R-ing형 준동사'는 의미상 어울리지 않으므로 ⓚ와 같은 문장은 사용하지 않는다.

 

 

참고로 위 ⓖ,ⓗ / ⓙ 문장의 그림은

아래 ⓛ,ⓜ / ⓝ과 같이 분석하여 그릴 수도 있다.

d3acf489b982a3c1d6a1701fb0001b34_1441285

즉 ⓖ,ⓗ / ⓙ 문장에서는 'to R / R-ing형 준동사'를 <부사어>로 분석한 그림이며,

ⓛ,ⓜ / ⓝ 문장에서는 'to R / R-ing형 준동사'를

'주어'에 대한 '보어'로 분석하여 그림을 그린것이다.

그다지 크게 신경쓸 사항은 아니니

참고사항 정도로 알아두기 바란다.

마지막으로 참고사항을 한 가지 더 덧붙이자면

'동사'의 '원형' 형태는

'명령법', '조동사 뒤', '가정법현재' 등의 경우에서도 써먹는데

이 경우들은 다름아닌 '동사' 자리에서 '원형'의 형태로 써주는 ​개념인 반면,

이번 장에서 배운 '원형준동사'는

'동사'가 아닌​ 원래는 'to R / R-ing형 준동사(형용사)'를 써주어야 하는 자리에서

'to' 또는 '-ing'를 빼버리고

써주는 개념이라는 차이를 구별할 줄 알아야 하겠다.

추천 0 비추천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DrawEnglish 이론 목록

게시물 검색



Copyright © www.drawenglish.com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PC 버전으로 보기